본문바로가기



페이지 위치

Home > FEMS > 배경 및 추진개요

배경 및 추진개요


배경

국가과학기술위원회에서는 국가 R&D 예산으로 도입된 연구시설·장비의 구축부터 폐기까지 전주기적(Life Cycle) 상태를 파악하고 처리하기 위해 국가연구시설장비관리서비스(http://nfec.ntis.go.kr)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도입된 연구시설·장비들은 특성상 과제 종료와 전문 인력 부재 등의 이유로 저활용 및 유휴 상태로 있을 때가 비일비재하기 때문에 국가연구시설 장비관리서비스를 통하여 R&D 예산의 투자 효율성을 확보하고 연구시설·장비의 공동활용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구축된 장비들의 공동 활용을 목적으로 국내의 모든 공동활용 서비스 장비에 대해 조회에서 신청까지 원스톱으로 진행하여 이용자가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는 장비이용자서비스(http://zeus.nfec.go.kr)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국가 R&D 사업의 비중을 가장 많이 차지하는 대학교에서는 학교라는 기관의 특성상 협업의 어려움이나 정보 공유의 비효율성으로 장비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대학의 특성을 반영한 연구시설·장비관리시스템은 교내 연구기관에 산재하여 있는 장비들에 대해 도입 전부터 폐기까지의 전 과정별 이력과 장비도입심의위원회 관리, 장비 멘토링 관리 및 통계를 이용한 구축 및 가동현황 등에 대해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의 필요성이 요구됩니다.

이미지




추진개요

성균관대학교에서는 국가 R&D 예산 및 교비로 도입된 연구시설·장비들에 대한 관리체계의 효율성 제고와 이를 기반으로 고가 연구시설 · 장비의 사용연한 증대 및 유휴방지를 목적으로 성균관대학교 연구시설·장비관리시스템을 구축하였습니다.

이 시스템을 통하여 성균관대학교 공동기기원은 현재 장비관리의 제한적인 기능을 벗어나 도입 전, 도입, 등록 및 활용, 운영, 처분(폐기)까지의 전 단계별 종합관리체계를 수립하여 대학 특성을 반영한 연구시설·장비관리시스템에 대한 표준지침과 장비 활용실적에 대한 체계 기반을 마련하였습니다.

또한 교내 장비 관리에 대한 오프라인 협업의 어려움을 온라인 협업으로 전환하여 능동적인 관리가 가능하며, 특히 각 장비별 이력을 통하여 장비의 현황을 파악하기가 쉬우며, 교내 연구장비심의위원회의 온라인/오프라인 회의의 활동에 대한 관리가 용이합니다.


페이지 맨 위로 이동